ⓐ -display ( X 윈도우 환경 설정 )
/etc/X11/xorg.conf 에 설정이 저장됨 ( 다른 리눅스에선 여기에서 설정변경 )
( VM ware 에서 돌릴경우 VMtools가 설치 되어있어야 제대로 설정가능 )
※ 모니터 주파수 문제로 X-윈도우가 안될경우
# vi /etc/X11/xorg.conf 에서
Section "Moniter"
…..
Horiz Sync 31.5 – 48.4
Vert Refresh 43.5 – 75.0
위 숫자 부분처럼 수정시 대부분의 모니터에서 해결됨… (된다고함 ;;;)
ⓑ -date ( 날짜 설정 )
ⓒ -keyboard ( 키보드 설정 )
ⓓ -bind ( 네임서버 설정 ; Desktop 에선 기본지원안함 )
Domain Name Server (DNS) : 도메인명을 IP 어드레스로 치환
ⓔ -httpd ( 웹서버 설정 ; Desktop 에선 기본지원안함 )
Web Server : 웹 페이지가 들어있는 파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
대표적으로 Apache , IIS (Internet Information Service) , Enterprise
☞ 이메일, FTP, 파일 다운로드, 홈피구축, 전자 상거래 등
인터넷 & 인트라넷과 관련된 프로그램들의 패키지 일부로 나옴.
ⓕ -lvm ( LVM 설정 )
Logical Volume Management (LVM) : 논리적 볼륨 관리
디스크 드라이버의 용량을 논리적으로 조절, 관리
☞ 디스크 추가 / 타 시스템으로의 이송을 가능하게 /
데이터 백업 , 재분할 / 포맷 , OS설치 , 데이터 복구
☞ 손쉬운 디스크 재조정이 가능한 FS (File System) 구현을 위한 시스템
ⓖ -mouse ( 마우스 설정 )
ⓘ -network ( 네트워크 설정 )
조금뒤에 자세히 다룸~
ⓙ -nfs ( NFS 서버 설정 ; Desktop에선 기본지원 안함 )
Network File System (NFS) : 네트워크 상에서 FS을 공유하도록 설계된 FS의 한 종류
다른 호스트에 있는 FS의 일부를 자신의 디렉토리 인것처럼 사용.
☞ 즉, Network 상의 디스크를 한 서버에서 집중관리, 나머지 시스템이 공유
☞ 보안문제가 있음
ⓚ -package ( 패키지 추가, 삭제 관리 )
ⓛ -printer ( 프린터 설정 )
ⓜ -rootpassword ( 루트 계정 비번 관리 )
ⓝ -samba ( Samba 서버 설정 )
Samba Server : ▷ 리눅스와 윈도우간에 파일 및 프린터를 공유하게 함
▷ 타 운영체제와 파일을 공유하는 파일서버로도 사용 가능
▷ SMB / CIFS 프로토콜 이용
※ SMB / CIFS
Server Message Block (SMB) : 윈도우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의 디스크나 프린터와 같은 자원을
공유하게 해주는 프로토콜. TCP/IP 기반하의 NetBIOS 프로토콜 이용
Common Internet File System (CIFS) : 네트워크를 위한 SMB 확장버전.
윈도우와 유닉스 환경을 동시에 지원하는 인터넷의 표준 파일 규약
Network Basic Input/Output System (NetBIOS) :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입출력을 정의한 규약
ⓞ -securitylevel ( 보안 레벨 설정 )
ⓟ -soundcard ( 사운드카드 설정 )
ⓠ -users ( 사용자 관리 )
ntsysv – daemon
출처는 : http://anaron.egloos.com/69499
ip 재할당
윈도우에서 콘솔화면에서 현재 랜카드를 DHCP로 사용하고 있는 중에는..
ipconfig /renew, ipconfig /release 이렇게 하면..
아이피 주소를 새로 할당 받고, 아이피를 해제 하는데..
프로그래밍에서는 ipReleaseAddress, ipRenewAddress 함수가 존재하는데..
리눅스에서는 윈도우에서 처럼 지원하는게 있나요?
service network restart 이런거 말고요..
리눅스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함수나..
리눅스 터미널에서 사용 가능한 방법 좀 알려주세요..
service (/etc/init.d/network) network restart 명령어는 말 그대로 network 데몬을 재시작하는 명령어입니다.
DHCP로 할당이 되어 있다면 시작을 하면서 IP주소를 DHCP서버로부터 받아 오지요
이 방법이 아니면 (만약 eth0 이 꽂아져 있는 랜카드라면)
# ifdown eth0
# ifup eth0
명령어를 수행하시면 다시 받아 오는 역할을 하구요.
파일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1,2,3,4,) 을 vi 로 여시고 수정하시고 위에 ifdown, ifup 명령어를 수행하시면 됩니다.
network 상태를 보는 명령어는
# ifconfig 이구요 (ipconfig 와 비슷하죠?)
# ifconfig -a 하시면 전체 인터페이스에 대한 결과를 보여 줍니다.
장비에 랜선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 지를 보는 명령어는
# mii-tools 라고 치시면 됩니다.
넘버락 켜기
레드햇 리눅스를 설치하고 뭔가 이상해서 보니까, 키보드 우측 숫자 패드의 NumLock 키가 꺼져 있어서 상당히 불편했습니다.
이 문제 때문에 몇 시간을 허비하다가 결국 다음의 방법으로 해결했습니다:
/etc/rc
이 파일의 맨 밑에다, 아래의 코드 4줄을 추가하고 리부팅하면, 이제 부팅할 때에 NumLock 키가 자동으로 켜집니다. (etc 디렉토리 밑에 있는rc라는 파일입니다.)
for tty in $INITTY; do
setleds -D +num < $tty
d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